투덜군
투덜양 |
너 게임이야, 영화야? 소속이 뭐야!
투덜군,
휘황찬란한 <레지던트 이블2>의
4가지 음모론을 파헤치다
뭔가 휘황찬란한 것들이 한참동안 다채롭고도 풍성하게
스크린에 명멸하였던 것 같기는 한데, 돌이켜보면 구체적으로 뭐가 명멸해 지나갔는지는 거의
머릿속에 남기지 않음으로써, 관객들에게 ‘내 머릿속의 지우개’라는 말의 진정한 의미를 일깨워주고
있는 영화 <레지던트 이블 2>...
얼핏 그 제목만으로는 의료계에
첫발을 내딛은 인턴들의 애환과 설움을 그린 영화라는 착오를 불러일으킬 법도 한 이 영문 모를
영화가 출현하게 된 원인과 영문과 까닭에 대해 현재까지 다음과 같은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다.
① 조폐공사 개입설
: 신용 카드 거래의 일반화와 전자 결제 시스템의 확대로 인하여 현금 거래가 급속히 위축되고
있는 작금의 현실로 인해 존폐위기에 빠진 조폐공사가, 난국 돌파를 위한 최후의 방책으로서
‘안되면 현찰로 쳐바르기 시스템’의 적극적 홍보를 위해 이 영화의 제작에 깊숙이 개입했다는
설.
② 자금 은폐은닉설
: 그러나 당 영화에는 돈으로 깔았음이 틀림없음에도 도대체 아무런 감흥도 일어나지 않는 장면들이
다수 존재하기에, 오히려 정 반대의 이론인 ‘자금 은폐은닉설’이 훨씬 더 타당하다는 주장이
일각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.
참고로, 이 가설을 지지하는 측에서는 자신들의
이론적 근거로서 남대문만한 스테인드 글래스 슈퍼 오도바이 ‘Y2K’로 뽀개고 들어오기, <에일리언4>에
출연했던 삼계탕형 너덜너덜 괴물 기어이 리바이벌 해내기, 헬기 동원하여 죄없는 건물 유리창
수십장 줄줄이 깨기 등의, 비용 대비 영양가 제로의 장면들을 제시하고 있다.
③ 외식업 중앙회 개입설
: <살아있는 시체들의 밤>, <첩혈쌍웅>, <에일리언>,
<공각 기동대>, <매트릭스>, <바디 에일리언>, <28일
후> 등 이런 종류의 영화를 만드는데 필요한 소스라 알려져 있는 각종 영화들을 무차별적으로
짬뽕해냄으로써 짬뽕이라는 식품의 존재에 대한 주의를 환기, 침체된 외식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기
위한 초석을 마련하기 위해 외식업 중앙회 개입했다는 설.
이 단체는 최근에도 <S 다이어리>,
<썸> 등의 영화에 동일한 방식으로 개입했다는 구설에 오른 바 있어, 이 가설에
상당한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.
그러나 이러한 가설들 중 현재 가장 강력한
설득력을 보여주고 있는 의견은 뭐니뭐니해도, 게임(<바이오 해저드> 시리즈)으로
거둔 성공의 여파를 영화판에서도 그대로 중탕해먹지 않는다면 이건 죄악에 다름 아니라는 헐리우드적
뽕뽑기주의가 당 영화 제작의 진정한 배후로서 도사리고 있다는 가설인 ④ 사골우거지곰탕설일
것이다.
아니, 지금은 바야흐로 원소스-멀티유즈의
시대인데 그게 뭐가 잘못됐냐구?
원소스-멀티유즈, 그거 물론 좋다.
하지만 그 소스야 뭐가 됐건, 또 그걸 몇
단계로 멀티플하게 유즈했건, 단지 극장에서만큼은 그냥 영화를 볼 수 있어야 되지 않겠는가.
실제 사람과 물건을 동원해다 만든 게임 리플레이가
아니고 말이다.
씨네
21 477호 (04년 11월 둘째주)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