무릇 싸우지 않고 적을 이기는 것이야말로
병법의 최고라 했던가.
그러한 관점에서 본다면, 한국 재즈 뮤지션
중 최고수는 누가뭐래도 차인표일 것이다.
그는, 데뷔작 <사랑을 그대 품안에>에서의
색소폰 연주에서, 아무런 소리도 내지 않은 채 허리만 한 차례 제껴주는 존 케이지적 아방가르드
미학을 선보임으로써, 국내에 ‘재즈’라는 단어를 알리는데 가장 큰 공헌을 한 인물이 아니었던가.
그렇다. 그의 연주는 불지 않고도 관객을 쓰러뜨리는
최고의 경지, 바로 그것이었다.
이러한 ‘연주 스턴트’ 기법은 극미량의 노력으로
극대량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, 지금까지 장르와 매체를 가리지 않고 두루 애용되어 왔다.
그러나 최근 개봉된 <호로비츠를 위하여>는
피아노 치는 장면이 시종일관 주리장창 등장함에도 ‘연주 스턴트’ 기법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
놀라운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한국 연주 영화사에 일획을 긋는다.
하지만 당 영화는, 그렇게 높은 기술적인 완성도를
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음악을 제대로 보여주는데는 여전히 실패하고 있다. 왜냐.
다들 아시다시피, 당 영화에서는 어린 시절의
상처로 인해 자폐적 성격을 갖게 된 천재 소년 피아니스가 등장한다. 그리고 엄정화가 연기하는
극중 피아노 선생님은, 자신의 실패에 대한 보상심리로 걔를 혹독하게 훈련시키기 시작한다.
뭐, 굉장히 재미없고 고되보이긴 한다만, 그래야만
진정한 프로로 거듭난다니, 이 훈련 자체에 투덜거릴 것은 없음이다. 하지만 정작 문제는 이
선생님이(그리고 이 영화가) 천재 소년을 제외한 나머지 학원생들을 다루는 태도에 있다.
이 선생님의 학원에서는, 피아노를 ‘천재적’으로
치지 못하는 학생들은 모두 발 밑에서 걸리적 거리는 해초같은 존재가 될 뿐이다.
그곳에서는 더듬더듬 쉬운 소절 하나 제대로
못 치는 돗수 높은 안경 낀 여자애나, 엄마의 압력에 굴하여 태권도복을 입고 피아노 학원에
오는 뚱뚱한 남자애 등등은, 천재를 향한 선생님의 불살라 오르는 열정을 가로막는 존재 외에는
아무것도 아니다.
이 광경을 보며, 필자는 이런 생각을 했다.
내가 만일 저 피아노 학원의 ‘보통’
학생이었다면, 다시는 피아노를 치고 싶어지지 않게 됐을 것 같다고.

물론 천재를 세계적인 연주가로 키워내는 것도
중요한 일일게다.
하지만, 더 많은 천재 아닌 보통 사람들에게,
비록 서툴더라도 악기를 연주하는 일 자체의 즐거움을 알도록 해주는 것 또한 못지않게 중요하고,
또 가치있는 일이다.
왜냐하면 음악은 기본적으로 즐기는 자의 것이기
때문이다.
음악에 이 ‘즐기는 마음’이 없다면, 아무리
기술적으로 그럴듯해 보여도, 그것은 차인표의 색소폰과 하등 다를 것이 없는 텅 빈 것이 되고
만다.
그리고 이것이 어디 음악에서만 적용되는 얘기일
뿐이랴.
씨네 21 556호
(06년 6월 첫째주)
|